728x90
반응형
자료형이란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자료의 형태를 말한다.
3이라는 숫자를 숫자로 처리하는지, 문자열로 처리하는지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집니다.
컴퓨터에게 일을 시킬 때는 이것은 숫자이니 더하거나 빼야하고, 저것은 문자열이니 더하거나 뺄 수 없다는 것을 따로 알려주어야 합니다. 이렇게 숫자나 문자열처럼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자료의 유형을 지정해야 하는데, 이러한 자료의 형태를 '자료형'이라고 합니다.
*자료형은 '데이터 유형'이나 '데이터 타입'이라고도 합니다.
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은 크게 '원시 유형'과 '객체'로 나뉘어집니다.
원시 유형
원시 유형은 하나의 값만 저장하는 자료형으로, 숫자와 문자열, 논리형, undefined, null, symbol 유형이 있습니다.
- 숫자형 : 모든 프로그램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형입니다. 자바스크립트에서 큰따옴표 없이 입력하면 숫자로 인식합니다. 하지만 숫자라고 해도 큰따옴표로 묶으면 문자열로 인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- 문자열 : 작은따옴표(')나 큰따옴표(")로 묶은 데이터를 의미합니다. 단, 문자열의 앞뒤에 붙이는 따옴표는 같아야 합니다. 큰따옴표로 묶은 문자열 안에 다른 문자열을 포함시켜야 할 때는 큰따옴표가 중복되지 않도록 안에 포함되는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로 묶어 표현해야 합니다. 따옴표만 있고 내용이 없어도 문자열인데, 이러한 문자열을 '빈 문자열'이라고 합니다.
- 논리형 : 참(true)이나 거짓(false) 값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유형으로, '불리언(Boolean)유형'이라고도 합니다. 논리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값은 true와 false이고, 논리형 값은 지정한 조건에 맞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조건식에서 많이 사용합니다.
- undefined : 값이면서 동시에 자료형입니다. undefined는 변수를 만들기만 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았을 때 자바스크립트에서 자동으로 부여하는 초기값입니다.
- null : 값이면서 동시에 자료형입니다. null은 변수에 값이 없거나 유효하지 않다는 의미로, 자바스크립트에서 반환하거나 사용자가 할당할 수 있는 값입니다.
- 심벌 : 심벌(symbol)은 새롭게 추가된 원시 유형의 자료형으로, 지금까지 살펴본 자료형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심벌의 가장 큰 특징은 유일성을 보장한다는 것입니다.
객체
원시 유형외에는 모두 객체입니다.
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(object)란, 여러 개의 원시 유형을 하나로 묶어 놓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자바스크립트는 배열이나 함수도 객체로 취급합니다.
객체는 하나의 변수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자료형입니다.
객체는 중괄호({}) 안에 모든 정보를 담는데, 키와 값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쌍을 만들 수 있습니다. 그리고 객체 안에서는 여러 개의 '키 : 값' 쌍을 쉼표(,)로 구분합니다.